top of page
Artist Statement
2010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women. Although that's the case for most men, it's especially a much more serious and elaborate subject of research for me. All my works are not far off from the subject realm of light or women. Such unyielding fixation on women is probably a result from the failures and pains of my first love. Immature in love, I regarded her as a mere object of possession and desire. Obviously such conviction paved an end for our love, yet the obsession about the object that cannot be possessed became larger. There were several more relationships afterwards, but they only added to the pain. I have become a bit more prudent through such periods of perseverance, but if I'm ever placed in that situation again, it would still be a difficult situation.

 

Such epistemological experiences with women, the subject unable to be possessed, thrived in my unconsciousness and brought about an unnatural mentality and mysticism about women. They are symbolized by light and darkness. As if true love, and not as an object of desire, sets itself on fire and lights up like a candle, women are similar in character to such fire. When that light is extinguished-usually through my overt desires-darkness returns. I regard this symbolic nature of light-with its honest yet brutally dualistic characters-as the supernatural sacredness of women. The fear is always geared towards women, my source of captivation. This fear is a form of powerful castration anxiety that can eliminate the reason of my existence, and the sacredness signifies the invincible providence beyond my control, or the mysticism or a symbol of women that can be linked to light.

 

The mysticism of women is visualized into deified work through the birth of objects like taxidermy or vicarious objects of satisfaction that emphasize a bulky physical mass filled with the emptiness and frustration of the inability to possess women. My unattainable desires were at first recorded (possessed) through photography, and I came to cross-questions my own ego and existence through the objectified subject (final work). This is because life comes from such ego with the desires to possess, with the determination to react to and transcend such desires. The extreme female gestures are revealed in the figures in the work, but my story doesn't rest here. For example, the series of works in the exhibition Light Cut My Self, literally transposes the viewer's vision -mainly that of male desire- on the objectified female bodies in the work. In other words, light is reflected through the physical sanding technique and by revealing the material surface of metal, and through more or less direct and offensive working technique, it brings a reverberating reactions toward that gaze. The important aspect here is that what 'cuts' here is not the objectified women but paradoxically, but cuts through where the viewer collides into his or her own gaze of desire-I regard these points of contact as a place of ego and chaos, caused by self recognition, a manifestation of self-awareness. Ultimately, such act of cutting or being cut signifies a total fusing, or precisely the death of ego. This has to do with beyond the desiring human to having a direct relationship castration anxiety, which I consider a form of conscience or lack of desires. Here, desire demands an analysis on the masculine characteristics-the strong, patriarchal power, desiring, and all things of the domination ideology. For these reasons, I always include images of women in my work, as the male gaze and desire to possess women extends out to being analogous to the universal phenomenon of a human being chasing after his desires in a society. The reason that the nature of women as subject is paradoxically looked at as the source of production, nature, universe, symbol of complete whole and virginity, is because it ruminates from an object of desire. Most people link their ego to the subject of their desire, and subconsciously feel the instinctual need to find their identity through it. Here, I introduce women's affirmative function of a mystical motif like that of Medusa. Medusa is seen as a woman, or the complete existing nature or cosmos, embedding fears of castration anxiety about the voyeuristic vision of desire and the symbolic vision and nature of masculine power.

 

Such concept runs parallel in the Medusa in my work. In Greek mythology, Medusa is an emblem of an independent and sacred woman. Also, she's the spring of life, and a goddess that controls death. Medusa is defined as the unattainable future yet already having existed in the past, existing in the present and to exist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place where life (creation, conception) and death coexist-psychoanalysts even compare Medusa to the female reproductive organs-is not so different from the female body like Medusa-which, according to Jacques Lacan, is the lacking 'Object a' or the eternal object of desire of the desiring man (male and masculinity).

 

The symbolic effect in Medusa's gaze proves the abovementioned points. The long snake hair and her eyes are the mirror of desire (reflection) and an index that symbolizes the inner world. No one can face Medusa's face, because it's the future that hasn't come, which is death. It's because the moment one looks into the eyes of Medusa-object of desire, death, taboo of gaze-he is turned into a stone-same effect of castration anxiety-testified by inner fear and power. Through the gaze of Medusa, we can see our own perplexing gaze (that otherizes the other). I think this function of Medusa-opening the eyes towards the inner ego- is positive and edifying. It provides a process of self-awareness, restoration of forgotten (feminine) sensitivity and a return to the transcendental ego. It's like the subject of desire (usually domination ideology of male desire) faces the subject, conceives the feared Medusa inside, and distances from her. Helene Cixous criticized male-dominated thinking and writing in her book The Laugh of the Medusa: "Medusa, she's not a fatal existence. She is beautiful, and she is 'laughing.' Cixous criticizes dichotomy of gender and the darkness bestowed on femininity, and rejects Medusa-like vision born through male-dominated thinking. However, such controversy is entirely possible and even progressive. For whatever the subject, the line that tells whether it's a fatal or a beautiful existence, is eventually a product of the contradiction that comes from one's own ego. The inner eye can open all of a sudden, turning into stone the one who chases after unquenchable desires. In that sense, Medusa is like the message of the angel of death thrown to the blinded this day and age, becoming the mirror of a truth-seeker in the gazes of desire. Based on such gaze of the Medusa and the symbolic nature between object and subject, my work adheres to issues like love, desire, rupture, death and hope.

 

Ultimately, my work suggests a rethinking about one's own physicality as a human being who becomes the subject and object of one's own desire-suggesting the figures fossilized by Medusa's gaze, locked in the steel of my work-and reminds the viewer to maintain one's cold rationale yet not lose the passionate inner eye. The symbolic effect of these Medusa-like women with their eyes closed turns the work in the exhibition into a spell, suggesting a meditative ritualistic consciousness-this is the artist's cry towards the audience-and helps in forming a new world of consciousness. The figures of human being appearing in my work suggest the wounded ego, a fragment of lif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and the desiring human (lump) itself. Through an alter like a taxidermy filled with desires within a matter, I wish to reflect on the nature of desire as something led by the matter responding to light (subject) and its paradoxical reaction (subject of gaze). It may also be my small aspiration to restore and regenerate the sensitivity, and life's passion and philanthropy that has been lost in our hearts.

 

 

언제나 여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무릇 모든 남성들이 그렇겠지만, 나는 좀 더 진지하고 치밀하게 연구하고 작업을 하고 있다. 나의 모든 작업들은 빛 또는 여성이라는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이렇게 고집스럽게 여성에 관해 천착하게 된 동기는 아마도 길고 긴 첫사랑과의 상처와 실패를 경험하면서부터이다. 사랑이라는 감정에 미숙했던 나는 그저 연인을 소유하고픈 대상, 즉 욕망의 대상 정도로만 보았던 것이다. 그러한 마음가짐으로는 당연히 그 사랑은 지속될 수가 없었고, 소유할 수 없는 대상에 관한 집착은 더욱 커져만 갔다. 물론 그 이후에도 몇 번의 관계들이 있었지만 결국 몇 번의 상처만 더해졌을 뿐이다. 현재는 그런 인고의 과정들로 인하여 좀 더 신중한 자신이 되었다. 그러나 언제든 그 상황에 재차 놓이게 된다면 힘든 과정이 될 것은 기정사실이다.

 

이러한 소유할 수 없는 존재인 여성에 대한 인식적 경험들은 나의 무의식 속에 계속 녹아들어 여성에 관한 인공적인 정신세계와 신비로움을 가져왔다. 그것은 곧 빛과 어둠으로 대변될 수 있다. 욕망의 대상으로서가 아닌 진정한 사랑을 할 때 그 사랑이 마치 제 몸을 태우며 빛을 발하는 촛불처럼 밝게 빛이 나듯이, 여성이란 그러한 빛의 성질과도 같았다. 그러다가도 그 빛이 어떠한 계기-여기서의 계기란 보통 나의 과도한 욕망으로부터 기인한다고 여긴다-로 인하여 소멸되면 다시 암흑천지로 뒤바뀐다. 이처럼 정직하지만 무서운 이원성(二元性)을 지닌 빛의 상징성을 나는 빛으로 대변되는 여성의 초자연(超自然)적인 신성함으로 간주한다. 무서움은 언제든 나를 사로잡는 여인에 대한 공포요, 내 존재의 이유를 제거할 만큼 커다란 힘을 지닌 일종의 거세불안(去勢不安)으로서의 공포였으며, 신성은 나의 뜻대로 되지 않는 불가항력적(不可抗力的) 섭리나 빛과 동일시되는 여성의 신비감 또는 상징성을 말하는 것이다.

 

여성에 대한 신비감은 곧 빛을 머금은 물질성을 강조한 박제와도 같은 대리물?-소유할 수 없는 여성에 대한 커다란 공허감과 갈망, 애착 등의 욕망은 커다랗고 육중한, 물성이 강조된 질감의 대리만족물 또는 박제물의 탄생을 통하여 공포 또는 신성시된 작업으로 가시화되었다. 이룰 수 없는 나의 욕망은 최초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기록(소유)되었고, 그 대상화된 대리물(최종 작업)을 통하여 스스로의 에고와 존재 자체에 대하여 늘 반문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본인에게 있어 삶이란, 이러한 소유하고 싶은 욕망으로서의 에고에 기인하여 그것에 반응하고 그 본질을 초월하고자하는 결연한 의지의 여정이기 때문이다-로 등장하게 되었다. 작업의 도상(圖像)들은 여성의 극단적 제스처가 드러나고 있지만, 나의 이야기는 여기에만 머무르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빛, 나를 베다’란 일련의 작업들은 대상화된 그림 속 여인의 나체를 바라보는 관람자의 시선-대개 남성적인 욕망의 시선이다-을 말 그대로 베어낸다. 즉 작업재료인 철에 물리적 샌딩기법과 물성의 강조 등을 통한 물질성의 적극적인 드러냄을 통하여 빛을 반사해내는, 다소 직접적이고도 공격적인 작업 방식과 결합하여 그 시선에 대한 반향적인 감정들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대상화가 된 여성 즉, 너를 베는 것이 아닌 역설적으로 결국 관람자가 스스로에게 던진 자신(나)의 욕망적 시선과 충돌하는 접점-나는 이러한 접점을 에고(ego)의 혼돈(chaos)지점, 자기 인식적 행위의 발생, 즉 자각(自覺)의 발현(發顯)점이라 여긴다-을 벤다는 뜻이 된다. 결국 이러한 베거나 베이는 행위는 온전히 녹아듦-즉, 에고의 죽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곧 욕망하는 인간인 이상 거세불안 공포-본인은 이 공포를 일종의 양심 또는 무욕(無欲)과도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와도 직결되고 있는데, 여기서 욕망이란 남성적-강자, 가부장적 권력, 또는 욕망의 주체, 지배 이데올로기 등으로 대변될 수 있는 오늘날의 모든 것들-성질에 관해 성찰을 요하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이유로 언제나 작업 속에 여인의 이미지를 대입시킨다. 대개 남성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과 소유욕은 사회 속에서 욕망을 좇는 인간의 모습과 닮은꼴이라 생각한다. 내게 있어서 여성이란 대상의 본질이, 역설적으로 생성의 근원이나 자연, 우주, 온전한 전체의 상징, 처녀성(處女性) 등으로 비추어지는 이유는 욕망의 대상화에서 반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개의 사람들은 자신의 에고를 욕망의 대상과 동일시하며 그것을 통하여 정체성을 찾으려는 본능적 욕구가 자신도 모르게 일어난다. 여기에 바로 여성의 메두사와도 같은 신화적 모티브의 긍정적인 기능을 도입한다. 메두사를 여성 또는 온전한 존재적 자연이나 우주로 여기면서, 욕망의 관음자적 시선이나 남성적 권력의 상징적인 시선과 속성들에 대한 거세불안 공포를 심어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은 본인 작업 메두사와도 상통한다. 그리스신화에서 메두사는 주체적이고 신성한 여성의 상징이자 대변이다. 또한 생명의 근원이며, 죽음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메두사는 자신을 오지 않은 미래이자 이미 존재한 것, 존재하는 것, 존재할 것이라 정의한다. 즉 삶(창조, 잉태)과 죽음이 공존하는 장소-정신분석학에서 메두사를 여성생식기로 해석하기도 한다-가 바로 메두사와 같은 여성의 몸-여기에서 여성의 몸은 라캉(Jacques Lacan)이 말하는 욕망하는 주체로서의 인간(남성, 남성적인 것)에게 영원한 욕망의 대상이자 결핍인 ‘오브제 a’와도 같은 원리이다-이란 점과 다름 아니다.

 

메두사의 시선이 주는 상징적 효과가 앞서 설명한 모든 상황들을 증명하여 준다. 뱀처럼 긴 머리와 눈은 욕망의 거울(반영)이자 내면을 상징하는 기표이다. 어느 누구도 메두사의 얼굴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 즉 죽음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메두사의 눈-욕망의 대상, 죽음, 시선에 대한 금기(禁忌)의 영역-을 바라보는 순간 화석화(化石化)가 되 듯-거세불안과도 같은 효과이다-내면의 공포와 파워를 통해 증명된다. 메두사의 시선을 통하여 우리는 나 자신을 바라보고 있는 나의 당혹스런 시선(타자화하고 있는 나의 시선)을 바라볼 수가 있게 된다. 이것은 즉 내면의 자아(自我)에 대하여 눈을 뜨게 되는 것-본인은 이러한 메두사의 기능을 긍정적이고 교훈적인 효과로 여기고 있다. 이것은 곧 자각이며, 잊혀진 (여성적)감성의 복원이자 초월적 자아이다. 즉, 욕망의 주체(대개 남성적 욕망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대상과 마주하며 스스로의 내면에 공포의 메두사를 잉태하고, 경계하는 효과와도 같다. 식수(Helene Cixous)는 그녀의 저서 <메두사의 웃음/출구>에서 현존하는 남성중심의 사유와 글쓰기에 관하여 비판하고 이렇게 말한다. ‘메두사, 그녀는 치명적인 존재가 아니다. 그녀는 아름답다. 그리고 그녀는 웃고 있다’라고. 식수는 이분법적 젠더와 여성에 부여된 검은 영역에 관하여 비판하면서 남성 중심의 사유로 탄생한 메두사적 시선의 바라보기(주체에 의한 타자의 말살)를 거부하지만, 이러한 논란은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발전적이라 생각한다. 어떠한 대상이건 간에 치명적인 존재냐, 아름다운 존재냐의 판가름은 결국 나 자신의 에고로부터 기인한 이율배반(二律背反)성인 까닭이다-과 같다. 그 내면의 눈을 번쩍 떠서 무한한 욕망을 좇는 나(우리)를 언제, 어느 순간 거세하여 돌로 변모시켜버릴지 모른다. 그러한 점에서 메두사는 욕망의 시선들 속에서 스스로 구도자(求道者)적 거울이 되어 오늘날 맹목화 된 나(우리)에게 던지는 사자(使者)의 메시지와도 그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메두사적 시선과 대상과 주체간의 상징성을 토대로 사랑, 욕망, 상처, 죽음, 그리고 희망이라는 작업의 모티브를 견지한다.

 

결국 나 자신(우리)으로 인해 스스로 욕망의 주체와 대상이 되어버린 물질(인간) 자체-마치 메두사의 시선에 화석화된 모습을 연상시키는, 본인 작업 철 속에 갇힌 인간의 도상들처럼-에 대하여 다시금 고찰해보고, 메두사의 눈과도 같은, 차가운 이성을 지닌 동시에 가슴 뜨거운 내면의 눈을 잃지 말아야 함을 상기시키는 것이 나의 작업 근간이다. 내게 있어서 눈을 감고 있는 이 메두사와도 같은 여인들의 상징적 효과는 마치 전시장에서 행해지는 전시 자체도 주술적이고, 명상적인 하나의 제의적(祭儀的) 의식-이것은 관람자들을 향한 작가의 외침과도 같다-처럼 여겨지고, 새로운 정신세계를 형성하도록 만든다. 작업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간들의 도상은 상처받은 자아인,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단편이자, 욕망하는 인간(덩어리) 그 자체이다. 물질 속에 욕망을 가득 담은 박제와도 같은 제단화를 통하여 욕망의 반영을, 빛에 반응하는 물질(대상)과 역설적인 감성(응시의 주체)의 이끌림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우리네 가슴 속 잊혀진 감성, 즉 삶의 격정과 인간애를 복원하고 재생하려는 나의 작은 바람이자 하나의 의식(儀式)일 수도 있겠다.

bottom of page